마케팅에 있어서 광고비는 매우 중요한 핵심 중 하나 입니다.
실제로 사용되는 비용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온라인 광고 플랫폼에서 이 광고 비용을 어떻게 측정할까요?
아마 대부분의 플랫폼이 아래 두 결제 방식을 사용할 것입니다.
•
CPC (Cost Per Click) - 클릭 당 비용
•
CPM (Cost Per Mile) - 1,000회 노출 당 비용
마케터, 특히 퍼포먼스 마케터라면 더 중요한 CPC, CPM 이번 기회에 각자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봅시다.
1. CPC (Cost-Per-Click) 광고란?
CPC 광고는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비용이 발생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다음과 같은 광고 상품이 있습니다.
•
네이버
◦
사이트 검색 광고
◦
파워링크
◦
플레이스 광고
•
카카오
◦
카카오 비즈보드
◦
디스플레이 광고
•
구글
◦
Google Ads 검색 광고
◦
Google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광고
◦
Youtube 광고 (일부)
CPC 광고의 장점
CPC 광고의 단점
2. CPM (Cost-Per-Mille) 광고란?
CPM 광고는 1,000회 노출될 때마다 비용이 청구되는 방식입니다.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광고 상품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
네이버 동영상 광고 (CPM 보장형)
•
카카오
◦
카카오모먼트 디스프를레이 광고
◦
카카오 동영상 광고
•
구글
◦
Google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광고)
◦
Youtube 광고 (일부)
•
메타 광고
CPM 광고의 장점
CPM 광고의 단점
3. CPC vs CPM: 어떤 광고 모델을 선택해야 할까?
CPC 광고가 적합한 경우
CPM 광고가 적합한 경우
4. 실무 적용 사례와 광고 성과 비교
결론
CPC와 CPM 광고는 각각의 목적과 장단점이 있습니다. 전환율을 높이고 싶다면 CPC,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고 싶다면 CPM이 적절합니다.
광고 캠페인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예산과 타겟팅 전략을 고려하여 최적의 광고 상품을 선택하세요.
국내 최고 그로스 마케팅 전문가의 노하우를 통해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성장을 만드는 그로스 마케팅
국내 최고 CMO의 그로스 마케팅 무료 상담 신청